‘살인의 추억’은 봉준호 감독의 두 번째 장편영화이자, 한국 영화사에 깊은 족적을 남긴 걸작이다. 1980년대 후반 화성에서 실제로 발생한 연쇄살인사건을 모티브로, 당대의 시대상과 수사 시스템, 인간의 본성과 공포를 날카롭게 묘사한 이 영화는 단순한 범죄 영화가 아니다.
살인의 추억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시대의 초상
‘살인의 추억’은 단순한 살인 사건의 재구성이 아니다. 영화는 1986년부터 1991년까지 화성 지역에서 발생한 실제 연쇄살인사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피해자는 모두 여성이라는 점, 그리고 범인의 특정한 행동 패턴 등이 실화와 거의 유사하게 반영됐다. 하지만 영화는 사건 자체보다 당시 한국 사회가 이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고 대응했는지에 더 집중한다.
캐릭터와 인간 본성의 충돌
이 영화의 중심에는 두 형사가 있다. 송강호가 연기한 지방 형사 ‘박두만’과, 김상경이 연기한 서울 형사 ‘서태윤’이다. 박두만은 육감과 감에 의존하는 수사 방식으로 유명하고, 서태윤은 논리와 과학을 중시하는 인물이다. 두 사람은 처음에는 극단적으로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대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서로의 방식이 무너지고 섞여간다.
결말의 여운과 시간이 남긴 질문
‘살인의 추억’이 진정한 명작으로 기억되는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결말에 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박두만은 평범한 아버지가 되어 과거 사건이 벌어진 논두렁을 다시 찾는다. 거기서 만난 한 소녀가 “예전에 어떤 아저씨가 여기를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었다”고 말하는 순간, 박두만의 표정은 미묘하게 흔들린다.
결론
‘살인의 추억’은 단순한 범죄 실화 영화가 아니다. 그 안에는 시대의 공기, 인간의 한계, 사회 구조의 문제, 그리고 정의에 대한 끝없는 물음이 응축되어 있다. 시간이 흘러도 결코 낡지 않는 이 영화는, 우리가 잊어서는 안 될 기억을 상기시킨다. 다시 한 번 ‘살인의 추억’을 통해 우리 사회가 무엇을 놓치고 있었는지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